작가 소개: 이광수 (1892~1950)
평북 정주 출신으로, 한국 근대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으며, 작품 경향은 대체로 계몽주의적인 성격이 짙음.
- 작품 핵심 정리
-갈래: 장편 소설, 농촌 계몽 소설
-시점: 전지적 작가 시점
-배경: 시간-1930년대 초, 공간-서울, 살여울, 검불랑
-주제: 농촌에 대한 계몽의식과 농촌 개혁을 통한 이상적인 농촌 건설
- 작품 해설 정리
-작품 안: 사랑과 계몽의 이중주: 이광수의 소설에서는 흔히 삼각 관계를 중심으로 하는 사랑의 문제와 민족주의 이념을 바탕으로 한 계몽의 문제가 주된 주제로 등장한다. [흙]의 경우에도, 초반부에는 허숭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정선과 유순의 삼각 관계를 주로 다루고 중반부에서는 허숭과 정선의 갈등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며, 후반부에서는 농촌 운동을 중심으로 한다.
-작품 밖: 도산 안창호와 브나로드 운동: 이광수는 도산 안창호에게서 지대한 영향을 받았는데, [흙]의 주인공인 허숭의 뒤에 한민교 선생이라는 정신적 지주가 있는데 이 인물은 도산 안창호와 매우 흡사하다. 또한 당시 이광수가 편집국장이었던 <동아일보>가 전개한 브나로드 운동 아래 쓰여진 작품이기 때문에 농촌 문제를 고발하는 성격을 띄고 있다.
- 작품 등장인물 정리
-허숭: 정선과 유순 사이에서 갈등하다 정선과 결혼했지만 농촌을 위해 헌신함.
-정선: 허숭의 아내로, 자신의 부귀영화만을 위해 살다가 뉘우침.
-유순: 순박한 시골 처녀로, 허숭의 중매로 한갑에게 시집을 가고 오해때문에 죽임을 당함.
-김갑진: 동경 제대 출신 지식인으로, 방탕한 생활을 함.
-한민교: 교직자로써, 학생들의 농촌 개혁을 위해 힘씀.
-유정근: 부잣집 아들로, 마음을 고쳐먹고 농촌 개혁에 동조함.
- 작품 줄거리 정리
-야학 활동을 하던 허숭은 유순에게 마음이 끌리지만 정선과의 혼인을 권유받아 정선과 혼인을 하게 된다. 그러나 개인적 향락만을 추구하던 정선에 실망하고 농촌으로 와서 농촌 개혁에 힘쓴다. 정선은 김갑진과 정을 나누게 되고 이혼을 결심한 허숭을 보며 낙담한 정선은 기차에 뛰어들었다 다리를 잃는다. 동경 유학에서 돌아온 유정근이 허숭을 모해하여 5년형을 선고하고, 작은갑에 의해 오해가 풀린 유정근은 허숭에 사과한 후 한민교 선생을 지도자로 모시기 위해 서울로 간다.
- 논술 정리: [흙]에서 농촌을 바라보는 관점의 동시대 다른 소설과의 차이는 무엇인가?
-이광수의 소설 [흙]에서는 농촌이 황폐화된 원인을 일본의 착취, 잘못된 소작 관습, 양반 계급의 부패같은 외적인 환경과 농민들의 무지로 대표되는 내적인 요소로 찾고 있다. 이는 지주는 악, 소작민들은 선이라는 이분법적인 접근법을 보였던 동시대 다른 소설과는 큰 차이를 두고 있다. 그러나 [흙]에 제시된 농민상이 자신의 잘못을 반성하고 용서를 구하는 것보다 자살을 택하는 정선의 모습처럼, 현실의 모습을 극복해 나가려는 적극적인 농민의 모습을 찾아보기 힘들다는 점은 이 소설의 한계로 지적할 수 있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