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관촌수필 - 이문구 [문학 분석, 논술 정리]

조금의행복 2023. 8. 23. 15:30
728x90
반응형
작가 소개: 이문구 (1941~2003)
충남 보령 출신으로, 1966년 <현대문학> 에 [백결]이 추천되어 문단에 등단하였다.
농촌과 어촌, 소외 지대인 도시 변두리 사람들의 삶을 통해 산업화, 도시화로 인한 삶의 변화와 농촌의 해체 등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 작품 핵심 정리

 

-갈래: 연작 소설

-배경: 시간-1940~1970년대, 공간-충남 보령 관촌마을

-시점: 일인칭 주인공 시점

-주제: 근대화 과정에서 사라진 전통적인 농촌 공동체에 대한 회고와 아쉬움.

 

 

  • 작품 해설 정리

 

-작품 안: 8편의 단편이 이어진 연작 소설: [관촌수필]은 작가의 전기적 체험을 바탕으로 씌여진 연작소설로 총 8편의 단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락서산]은 그 중 첫 번째 작품에 해당한다. 제목에 '수필'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데서 짐작할 수 있듯이, 회고적인 어조로 고향 '관촌'과 관련해 떠오르는 인물과 사건들에 대해 그리고 있다.

 

-작품 밖: 변해가는 고향의 모습을 통한 당대 현실에 대한 비판: [일락서산]에서 주인공은 오랜 만에 고향에 돌아와서 어렸을 적의 모습을 추억하며 그리워한다. 과거의 마을 풍경과는 사뭇 달라져 버린 현재의 모습이 대조되면서, 사라져 버린 옛것에 대한 향수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이는 근대화의 과정에서 사라져 가는 농촌 공동체의 모습에 대한 안타까움을 표현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 작품 등장인물 정리

 

-나: 서술자로, 도시에 살고 있으나 근대화, 산업화로 인해 사라져가는 농촌의 옛 모습을 안타까운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다.

-할아버지: '나'의 할아버지로, 사대부가의 후예임을 자랑스러워하며, 봉건적이고, 완고한 태도로 가족들과 마을 사람들에게 거리를 두면서도 자상한 인물.

-아버지: 봉건적인 할아버지와 달리 근대적인 사상을 받아들이려 하는 인물로, 사회주의 운동에 투신하는 인물.

 

 

728x90

 

  • 작품 줄거리 정리

 

-'나'는 양력 정월에 성묘를 위해 고향을 찾아오고, 사라진 왕소나무와 추례해진 옛길의 모습에서 어린 시절의 추억을 떠올린다. '나'는 옛 기억을 더듬으며 갈머리를 찾고 옹점이에 관한 기억, 할아버지에게 배우던 글, 음식에 엄격하셨던 것을 회상한다. 또한 할아버지와 대립하고 자식들에게 엄했던 아버지를 떠올리면서 '서산마루에 지고 있는 해'를 바라보며 작품은 마무리된다.

 

"잘 있어라 옛집, 마지막으로 그렇게 중얼거리며 다시 한번 옛 집을 되돌아보았을 때, 그 너머 서산마루에는 해가 지고 있었다."

 


 

  • 논술 정리: 이 작품의 문체적 특징은 뭘까?

 

-이 작품의 문체적 특징에는 몇 가지가 있다. 우선 이 작품에는 충청도 사투리와 고풍스러운 어조가 사용되고 있다. 이는 근대화, 산업화로 인해 사라져 가는 농촌의 옛 모습을 회상하는 이 작품의 분위기와 잘 어울린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작품에는 한문투의 어휘가 빈번하게 사용된다. 각 연작의 제목이 [일락서산], [화무십일] 등으로 한문으로 되어 있을 뿐 아니라, 각각의 작품 안에서도 한자 어휘가 자주 등장한다. 이는 고전적인 세계를 상기시키고 예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728x90
반응형